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18년 생명표’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82.7년으로 2017년과 변함이 없었다. 2018년 연령별 사망확률을 따른다면 남자의 기대수명은 79.7년, 여자는 85.7년으로 전년대비 남자는 0.1년 증가, 여자는 변동 없었다.

기대수명은 해당연도 출생아가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를 뜻한다. 통계청은 시·구청 등에 신고된 사망신고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될 경우 특정 연령의 사람이 몇 세까지 살 수 있을지를 추정해 기대수명과 기대여명을 발표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해당연도 사망률이 높아지면 기대수명도 증가세가 꺾이거나 줄어든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지난해 겨울은 1973년 이래로 가장 낮은 기온을 보이는 등 이상기후를 보여 고령층 사망자가 많이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쳤다”며 “유럽에서도 2015년 폭염으로 프랑스와 이탈리아 기대수명이 0.1∼0.2년 감소했다”고 말했다.

남은 수명을 뜻하는 기대여명은 80세 이상 남성과 90세 이상 여성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증가했다. 지난해 40세 인구의 기대여명은 43.6년으로 집계됐다. 남성은 40.8년, 여성은 46.5년으로 여성이 더 오래 살 것으로 예상됐다. 10년 전보다 남자는 3.2년, 여자는 2.5년 늘어났다. 60세의 경우 남성은 22.8년, 여성은 27.5년으로 10년 전보다 각각 2.6년과 2.3년 늘었다.

지난해 출생아가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지내는 기간(유병 기간 제외 기대수명)은 64.4년으로 전망됐다. 총 82.7년 중 18.3년은 병을 갖고 살아간다는 의미다. 남성은 64년, 여성은 64.9년이다. 다만 건강하게 보낸 기간의 비율은 남성이 80.3%로 여성(75.6%)보다 높았다. 2년 전 조사에서 유병 기간은 17.5년, 유병 기간 제외 기대여명은 64.9년이었다. 유병 기간 제외 기대수명은 2012년부터 격년마다 발표하고 있는데 꾸준히 감소 중이다.

김 과장은 “한국이 의료보험 서비스나 건강검진 체계가 잘 갖춰져 있다 보니 암·고혈압 등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경향이 늘었다”며 “이에 유병 기간 제외 기대수명이 줄어드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사망 원인으로는 암이 20.7%로 가장 높았고 심장질환(11.8%)과 폐렴(10%), 뇌혈관질환(7.9%)이 뒤를 이었다.

특히 폐렴으로 인한 사망확률은 10년 전보다 6.8%포인트로 가장 많이 증가해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만약에 기대수명에 암이 제거된다면 3.6년, 심장질환이 제거된다면 1.4년, 폐렴이 제거된다면 1.0년이 수명이 연장 될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OECD 평균보다 높다. 즉 우리나라 남자 기대수명(79.7년)은 OECD 평균(78.1년) 보다 1.7년 높고, 여자의 기대수명(85.7년)은 OECD 평균(83.4년) 보다 2.4년 더 높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요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