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빠른속도로 늙어가고 있다. 2045년부터 세계에서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가 될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통계청은 2일 발표한 ‘2019년 장래인구 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에서 2067년 한국의 만 65세이상 고령인구가 전체인구의 46.5%까지 치솟는다고 진단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고령인구(65세이상 인구)비중은 올해 14.9%(세계51위)에서 2045년 37.0%로 치솟아 세계 1위 고령국가인 일본(36.7%)을 넘어선다. 2067년에는 46.5%까지 높아져 세계평균(18.6%)은 물론, 2위인 타이완(38.2%), 3위인 일본(38.1%)과도 큰 격차를 나타낼 전망이다.

전 세계 201개국중 한국과 같이 2067년까지 고령인구가 계속 증가하는 국가는 전체의 72.6%인 146개국에 달한다. 그러나 세계인구중 고령인구의 비중은 2019년 9.1%에서 2067년 18.6%로 9.5%포인트 오르는데 그친다. 한국의 고령인구 비중이 같은 기간 31.6% 포인트 상승하는것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고령화 속도가 세계평균보다 3배이상 빠른 셈이다. ‘인구절벽’은 유소년인구(0~14세)와 생산연령인구(15~64세) 감소에 뿌리를 두고 있다.

생산연령인구는 현재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2.7%(세계9위)이지만 2055년 50.1%로 추락해 전 세계 201개국 가운데 꼴찌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67년에는 45.4% 까지 떨어져 고령인구 비중(46.5%)이 일하는 인구비중을 앞지를것으로 예측됐다. 전세계 생산연령인구가 올해 65.3%에서 2067년 61.7%로 감소하는데 그치는 것과 비교하면 국내 노동생산성이 크게 줄어 드는 것이다.

일 할사람은 줄고 나이든 사람들이 늘면서 젊은 층의 고령자 부양부담도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할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년부양비’는 올해 20.4명에서 2067년 102.4명으로 5배 이상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고령인구에 유소년 인구(0~14세)까지 합친 총부양비는 올해 37.6명에서 2067년 120.2명으로 3배넘게 증가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아진다. 같은기간 세계 총부양비는 53.2명에서 62.0명으로 증가하는데 그친다. 생산현장에서 일하는 청장년층이 아이들과 노인을 부양해야하는 부담이 세계평균의 2배에 달한다는 뜻이다.

생산가능인구가 줄고 총부양비가 올라가면 가처분소득이 줄어 소비활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라 노동생산성이 저하되고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북한보다도 빠른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중위연령은 내년 35.3세에서 2065년 43.7세에 이를 것으로 관측됐다. 2015년부터 내년까지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1.11명으로 세계 합계출산율(2.47명)의 절반에도 못미친다. 한국의 기대 수명은 82.5세로 세계의 기대수명(72.3세)을 웃돈다. 저출산.고령화가 유독 두드러지는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요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