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치매관리 실태와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에서 치매로 입원한 환자의 한 해 진료비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48% 늘어 1천만원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7년 기준 서울 지역의 치매 입원 환자는 1만2천111명이었다. 입원 환자 수는 자치구별로 최대 3배 이상 차이가 났다.

2017년 기준 입원 환자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송파구(754명)였고, 가장 적은 자치구는 중구(204명)였다. 대체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많은 자치구가 치매 환자도 많았다.

1인당 입원비는 용산구(1천94만원), 서초구(1천79만원), 동작구(1천78만원) 순으로 많았다. 입원환자 1인당 평균 입원 일수는 133일이었다.

입원하지 않고 외래 진료를 받은 환자(실수진자)는 2017년 기준 총 6만6천36명이었다. 이는 서울 지역 65세 이상 노인 인구(136만5천명)의 5%에 해당하는 수치다.

외래 환자 수는 노원구가 3천958명으로 가장 많았고, 중구가 1천112명으로 가장 적었다. 1인당 외래 진료비는 평균 22만원, 총 진료비는 142억원이었다.

1인당 외래 진료비는 서초구가 28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외래환자 1인당 평균 방문일수는 4일이었다. 치매로 인한 의료비 부담이 늘고 있지만 치매 노인을 돌보는 시설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기준 서울시 노인요양시설은 총 208개, 정원은 1만2천671명이었다. 이 중 서울시 인증을 받은 시설은 52개(정원 4천545명)에 불과했다. 특히 종로구, 중구, 서초구, 강남구 등 도심 지역의 요양 시설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치매안심센터의 낮은 접근성도 문제로 꼽혔다. 25개 자치구 치매안심센터에서 인근 지하철역까지 거리는 평균 880m였다. 노인이 걸어가기에는 다소 먼 거리다.

또한 치매안심센터와 데이케어센터 이용자 중 기초생활 수급권자는 5∼6%, 독거·손자녀 가구를 포함한 취약가구 비율은 10∼16%로 낮아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치매 노인을 발굴·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진은 조언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요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