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한국은헹 조사통계월보 6월호에 실린 ‘노동이동 분석, 고용상태 전환율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의 노동이동이 둔화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직장을 잃으면 재취업이 어렵다는 얘기다.

노동이동이 어려워지는 현황이 장기화하면 노동 생산성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취직률과 실직률을 합산한 노동회전율은 2000~09년 29.2%에서 2010~18년 26.4%로 2.8%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00~09년 취직률은 28.2%였으나 금융위기 이후인 2010~18년에는 25.6%로 2.6%p 내려갔다. 취직률은 실직자가 구직활동을 통해 다음달 일자를 가질 확률을 나타낸다. 취직률이 하락한 건 그만큼 실업상태에서 벗어나기가 더 어려워졌다는 반증이다. 취업자가 다음달 직장을 잃을 확률을 보여주는 실직률도 같은 기간 1.0%에서 0.8%로 0.2%p 떨어졌다.

반대로 한 번 취직하면 계속 그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은 커진 셈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오삼일 한은 과장은 “이러한 취업자와 실업자 간 이동 둔화는 노동시장의 제도 변화뿐만 아니라 경기진폭 둔화, 고학력 노동자의 증가, 생산설비 세계화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른 것”이라며 “저학력에 비해 취직률이 낮은 고학력의 비중이 최근 커지면서 전체적인 취직률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생산설비 세계화 등으로 기업의 고용조정 필요성이 국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점도 국내 노동이동을 축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동이동 둔화가 장기화되면 향후 노동 생산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노동시장에서 밀려나더라도 교육 등을 통해 노동 재배치가 원활히 이뤄져야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요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