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일본 공항 출입국 심사 보조인력부터 관공서 안내데스크, 백화점과 대형마트, 편의점에서 일하는 고령의 노동자를 쉽게 마주칠 수 있다. 도쿄도청 관계자는 일본 정부가 지원하는 고령자 단기·임시직 소개 기관인 실버인재센터에 등록한 구직자 회원들의 평균 연령이 74.5세라고 귀띔했다.

도쿄도 실버인재센터 회원 8만2000명 가운데 실제 취업자는 80% 정도(2018년 3월·도쿄도 기준)라고 한다. 최근 인력난이 심해지면서 취업자 수는 계속 늘고 있다. 고령화로 생산가능(만 15∼64세) 인력이 줄어든 일본에서 고령자가 부족한 노동력을 메우고 있는 셈이다.

‘일하는 노인’은 세계적인 대세다. 미국에서도 인구 4명 중 1명(2016년 기준 23%)인 베이비부머(1946∼1965년생)는 역대 가장 강력한 ‘시니어 파워’를 자랑한다. 1986년 의무정년을 없앤 미국에서 55세 이상 노동자 비율은 매년 높아지고 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에 따르면 2000년 18% 남짓했던 55세 이상 고용비율은 2017년 기준 23%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일각에서는 베이비부머를 ‘퍼레니얼(perennial·영원한) 세대’라 부르며 노동시장에서 20, 30대인 ‘밀레니얼 세대’ 못지않게 중요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다.

고령자가 일터로 나서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연금 고갈 문제가 확산되면서 연금에만 기대기 어려운 세상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만난 한 50대 번역 프리랜서 여성은 “연금으로 가장 혜택을 받은 이들은 지금의 80대다.

하지만 앞으로 연금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했다. 일본은 2013년 정년을 만 65세로 높인 데 이어 최근 만 70세로 높이는 개정안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2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고령화 대책으로 ‘나이 없는 사회’를 선언했다.

고령화 대책을 준비한다고 어려움이 사라지는 건 아니다. 요미우리신문 등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에서 산업재해로 사망한 60세 이상 노동자는 3만3246명으로 전체 산재 사망자의 26%에 이를 정도로 급증했다. 일의 대부분이 체력 부담으로 젊은층마저 꺼리는 청소나 경비 등이 대다수다. 고령자 노동가치도 갈수록 폄하된다. CNBC에 따르면 올 1분기(1∼3월) 미국 55∼64세 노동자의 주급은 2007년보다 0.8%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35∼54세 노동자의 주급은 4.7% 올랐다.

관건은 노동시장이 고령자와 공생하는 방식이다. 일본은 1975년에 설립한 실버인재센터가 ‘취업개척원’을 두고 기업을 직접 찾아가 고령자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업무를 개발하고 있다. 도쿄도청 관계자는 “정년 연장 정책으로 10년 후에는 단기직 일자리를 찾는 노인의 주연령대가 80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노인 안전 대책과 함께 매일 다른 건강 상태에 맞춰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그룹식 취업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다 보니 죽을 때까지 일해야 하느냐는 노인들의 푸념도 나온다. 하지만 일이 장수에 도움이 된다는 분석도 있다. 가스가 기스요 일본 마쓰야마대 전 교수가 일본 장수 노인을 인터뷰한 책 ‘백 살까지 살 각오는 하셨습니까’에 따르면 ‘정해진 일과 중심으로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것’ ‘유대관계 속에서 타인에게 필요한 사람이 돼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은 노인이 기력을 유지하는 데 근본이 된다. 베이비부머가 퍼레니얼 세대로 활약하려면 더 나은 고령자 일자리가 필요하다. 좋은 일자리가 최고의 복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요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