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고령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나라다. 인구중 만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0% 이상이면 초 고령사회,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7%를 넘으면 고령화 사회라고 한다. 일본은 현재 인구 10명중 3명이 65세 이상 노인으로 이미 초 고령사회에 접어 들었다. 우리나라도 일본과 비슷한 순서를 밟고 있다.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했는데 2026년이면 초 고령사회에 접어 들것으로 보인다. 고령사회에서 초 고령사회로 가는데 프랑스가 40년, 미국이 16년, 일본이 12년 정도 걸렸는데 우리나라는 8~9년 밖에 걸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노인들의 건강.복지 부분 모두가 문제지만 건강 측면에서는 보유질환 개수가 많아지는 것이 특히 문제다.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은 세가지 이상 질병을 가진 경우가 46%나 된다. 70세 이상부터는 보유질환이 급증하는데 평균 6~7가지의 질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보고돼있다. 살아는 있지만 건강하진 않은 것이다.

이토 히데키 도쿄도립건강장수의료센터 이사장은 “여러 질환 때문에 병원을 자주 다녀야하고, 만성질환이 오래되면 필연적으로 합병증과 기능장애등이 생긴다” 며 “활동성이 떨어져 가족이나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격리될 가능성도 크다. 약물복용이 많아지는것도 문제다. 75세 이상 노인의 42%가 5개 이상의 약물을 복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약물을 다량.장기 복용하면 그 자체만으로도 우울증 , 위장장애, 뇌 기능저하 등이 생길 수 있다. 한국의 경우 노인의료비가 전체의 40%를 차지한다. 2030년이 되면 60%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경제 활동성도 떨어지는데 의료비 지출은 늘어나 젊은 세대의 부담이 커질 것이다.

일본은 노인층에 지출되는 의료비 부담이 커져 세금을 많이 걷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노인 의료비를 일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그보다 중요한 것은 노인질병 발병률을 낮추는 것이다. 예방에 주력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영양교육이다. 영양과다 또는 영양부족으로 인한 질병이 상당수이기 때문이다. 둘째는 운동장려, 셋째는 사회활동을 늘리는 것이다.

이토 이사장의 말에 의하면 일본은 질환이 있는 노인 대부분이 병원이나 요양시설이 아닌 자신이 살던 곳에서 ‘돌봄’을 받길 원한다. ‘커뮤니티케어’는 돌봄을 필요로 하는 환자가 자신이 살던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케어를 받게하는 시스템으로 미국.영국등에서 먼저 시작됐다. 일본에서는 병원에서 퇴원한 환자가 지역사회에서 바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다학제지원팀을 만들었다. 퇴원시 병원과 다학제지원팀이 모여 향후 치료 전략을 논의하고 공유하며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다.

윤종률 한림대동탄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노인의 특성을 잘 알고 다각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노인전문의’양성이 매우중요하다”면서 “어떤 운동을 해야 하는지, 음식은 어떻게 먹어야하는지, 중복되는 약물은 없는지 살피고 지도하는 전문의가 많이 양성돼야한다”고 말했다. 또한 “통합의료도 중요하다. 노인은 질병 보유개수가 많아 여러 의사에게 협진치료를 받아야 할때가 많다”며 “다학제 치료를 받아야 제대로 된 치료가 가능하다. 이런 모든 활동에 국가예산이 절대적으로필요하다. 정부는 고령사회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다각적인 지원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요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