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경제적 학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인구 고령화로 노인 인구가 늘면서 고령자를 겨냥한 금융 사기 등 경제적 학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제로 유언장을 작성케 하거나 대리권을 남용하는 등 고령자의 재산을 허락 없이 사용하는 문제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검찰이나 경찰 사칭형 보이스피싱 피해자의 절반은 60대 이상 고령자다.

더욱이 2065년이면 한국 고령 인구 비율은 46.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 될 전망이다.

윤희남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한국은 빠르게 늘어나는 고령화에 대비한 금융 대책이 필요하다. 경제적 학대를 방지하거나 노인이 이용하기 쉽도록 편의성을 개선한 해외 은행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지난해 5월 시니어 안정법을 제정했다. 은행이 노인에 대한 사기 의심 거래가 발견되면 곧바로 경찰에 신고하도록 법적으로 규정한 것이다. 일부 주에서는 해당 거래에 대해 은행원이 처리를 거절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대형 은행 웰스파고는 고령자 대상으로 급작스러운 인출액 증가, 공동계좌 개설, 주소 변경 등 계좌 이상 징후를 파악한다. 금융사기 같은 경제적 학대를 적발하기 위해서다.

노인 맞춤형 서비스도 다양하다. 영국계 은행인 바클레이즈는 숫자가 크고 조작이 편한 대형 카드 리더기를 갖추고 있다. 신용카드도 색상 대비로 한 눈에 앞뒤 구분이 가능하도록 했다. 시력이 떨어진 고령자를 위한 배려다.

또 ‘디지털 이글(digital eagles)’로 불리는 7000여 명 직원을 뽑았다. 이들은 고령자가 모바일 계좌 접속, 인터넷 화상 통화 등 디지털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디지털 인력이다.

세계적으로 치매 환자가 늘자 HSBC는 맞춤형 서비스를 내놨다. 비밀번호 분실이나 인출한 금액을 재인출하는 등 치매로 인해 은행 업무에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을 위해 치매 환자만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직원을 지점에 배치했다.

윤 연구원은 “최근 선진국 금융사는 디지털 기기 도입으로 발생하는 유휴 인력을 대면 거래를 선호하는 고령자의 금융거래 지원에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국내 은행은 고령자에 대한 금융서비스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요즘 금융사는 앞다퉈 비대면ㆍ디지털 기반의 금융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기기가 불편한 노인은 갈수록 소외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모바일뱅킹을 이용하는 70대 노인은 10명 중 1명꼴에도 미치지 못한다. 상당수가 “들어본 적이 없다”는 게 모바일 뱅킹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요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