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의 14.3%를 차지했다. 고령사회 기준인 ‘총 인구대비 14% 이상’ 을 넘었다. 한국은 이렇게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100명 중 14명은 노인이다. 고령층 비중은 매년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한국은 조만간 65세 인구가 전체의 20% 이상인 초 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인구에서 ‘특정 연령층’이 많아지면 경제구조도 이에 따라 바뀔 수 밖에 없다. 이러면 ‘특정연령층’이 중요한 경제주체가 되기 때문이다. 2006년 이미 초 고령사회로 진입한 일본은 총인구대비 고령층 비중이 27,7%(2017년 기준)에 이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일본 고령층은 전체소비의 40%를 이끌고 있다.

이들이 전체 일본경제의 소비를 끌어올리는 ‘큰손’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노인의 소비는 ‘여유’에서 발생한다. 고령층 주택보유율이 90%를 웃돌고, 전체 금융자산의 59.5%를 보유하고 있다. 나이가 들며 근로소득 등은 줄었지만 안정적인 자산을 갖고 있어 적정한 소비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 노인들의 삶은 이와 다르다.

국회예산정책처의 ‘고령층 가구의 소득과 자산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보고서를 보면 2006년부터 10년간 60세이상 가구주의 처분가능 소득은 연평균 4% 증가했다. 월 166만원에서 246만원으로 늘었다. 하지만 소비지출은 월 132만원에서 165만원으로 33만원, 연평균 2.3%만 증가했다.

이에 따라 노인가구주의 평균소비성향은 같은 기간 79.5%에서 67.2%로 12.3%포인트나 감소했다. 일본과 달리 60세 이상 노인들의 소비성향은 전 연령대에서 가장 낮았다. 이 배경에는 팍팍한 살림살이가 있다. 일자리 시장에서 밀려나와 소득이 적은 한국노인들은 쌓아둔 자산이 많지도 않다. 자산이 있다고 해도 부동산에 묶여 있을 뿐이다.

소비에 쓸수 있는 유동성 높은 금융자산은 거의 없다. 전체자산 가운데 금융자산비중은 18.8%에 불과하다.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해 최대한 지출을 줄이고 아낀다.

지갑을 닫는 노인들은 향후 소비위축 현상을 불러올 수 있다. 전체인구에서 고령층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 비해 이들이 좀처럼 지출을 하지 않으면 한국경제의 활력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인구구조가 점차 고령화 되고 있는 한국은 향후 소득의 큰 변화가 없다면 전체적인 소비지출은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요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