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병인 비용 물가가 지난해 통계 집계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최저임금 인상에 더해 고령화 심화에 따른 간병인 수요가 꾸준히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간병도우미료’ 물가는 2017년보다 6.9% 올랐다. 2005년 통계청이 관련 물가 집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지난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5%였다. 이전까지 간병도우미료가 가장 크게 올랐던 때는 2008년(4.9%)이었다. 2014년(2.5%), 2015년(1.5%), 2016년(1.6%)에는 1∼2%대였다가 2017년 3.5%의 상승률을 기록한 뒤 최저임금이 큰 폭으로 올랐던 지난해 덩달아 크게 올랐다.

실제로 간병도우미료 급등 원인 중 하나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분석된다. 대한노인요양병원협회에 따르면 전국 1450개 병원에 입원 중인 노인환자 28만여 명의 병원비가 올해 월 5만∼15만 원씩 올랐는데, 이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간병비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오래전부터 간병비는 선택진료료·상급병실료 등과 함께 환자의 부담을 늘리는 ‘3대 비급여’로 불려왔다. 이 중 선택진료비는 폐지됐고, 상급병실료 역시 건강보험적용이 확대되고 있지만, 간병비만큼은 지원 대책의 효과가 미미한 상황이다.

정부가 간호 인력이 간병을 함께 하는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해도 부족한 간호 인력과 부적정한 수가 등으로 인해 더디게 늘어나면서 전체 병동의 13%에 불과한 실정이다. 결국 가족의 고충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대한치매학회의 치매 환자 보호자 설문 조사를 보면 간병으로 인해 직장을 그만뒀다는 보호자는 14%, 근로시간을 줄였다는 보호자는 33%로 각각 집계됐다.

문제는 노인 환자와 치매 환자가 크게 늘어가면서 간병 수요가 갈수록 크게 늘어간다는 점이다. 간병인 고용의 대표적인 질병인 치매 환자는 2012년 54만 명에서 지난해 75만 명으로 6년 동안 40% 가까이 늘었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2060년에는 치매 환자가 332만 명에 달한다는 전망이 나올 정도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요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