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27일 발표한 2016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한국인 100명 중 3명은 암을 앓거나 앓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암에 걸린 3명 중 2명 이상은 5년 이상 생존했다. 
그해 새로 암이 발병한 환자 수는 22만9180명으로 전년보다 1만2638명(5.8%) 증가했다.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86.8명으로 전년 대비 8.6명(3.1%) 늘었다. 2011년 이후 2015년까지 매년 약 3%씩 감소하다가 2016년에는 소폭 올랐다.

원인은 ‘유방암’ 증가가 꼽힌다.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등 5대 주요 암 중 유방암만 2010년 이후 발생률이 계속 오르고 있다. 복지부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유방암 연평균 증가율은 4.5%”라며 “여성 비만 증가와 조기검진 등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암 종류별로 보면 한국인은 위암에 가장 많이 걸렸다. 이어 대장암, 갑상샘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샘암 순이었다. 암 확진 후 현재 치료 중이거나 완치된 ‘암 유병자’ 수는 총 173만9951명으로, 전체 인구(5111만2980명)의 3.4%였다. 65세 이상 암 유병자는 74만7898명으로 같은 연령대 인구의 11%를 차지했다. 기대수명(82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2%였다. 남성(기대수명 79세)은 5명 중 2명(38.3%), 여성(85세)은 3명 중 1명(33.3%)꼴로 암이 발병할 것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암은 더 이상 ‘불치병’이 아니다. 최근 5년간(2012∼2016년) 진단받은 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6%로 10년 전(2001∼2005년) 생존율(54.0%)보다 16.6%포인트나 높아졌다. ‘암 생존율’은 암 발생자가 암 이외의 교통사고나 다른 질환 등으로 사망할 가능성을 보정해 추정한 5년 이상 생존 확률이다. 성별, 나이가 동일한 일반인 대비 암 환자의 5년 후 생존 비율로 보면 된다. 암 생존율이 100%면 일반인과 생존율이 같다는 의미다. 

암 종류별 생존율을 보면 갑상샘암(100%), 전립샘암(93.9%), 유방암(92.7%)은 매우 높은 반면에 간암(34.3%), 폐암(27.6%), 췌장암(11.0%)은 여전히 낮다. 성별로 보면 여성 생존율(78.2%)이 남성(63.0%)보다 높았다. 또 암 진단 후 5년을 초과해 생존한 암 환자 수는 91만6880명으로 전체 암 유병자의 52.7%였다. 5년 초과 생존자가 암 유병자의 절반을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암 생존율은 1993∼1995년 41.2%, 1996∼2000년 44.0%, 2001∼2005년 54.0%, 2006∼2010년 65.2%, 2012∼2016년 70.6%로 계속 상승하고 있다. 

다만 여전히 암은 한국인의 첫 번째 사망 원인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암 사망자는 7만8863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27.6%를 차지했다. 정부는 조기검진을 통해 암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내년 7월부터 국가암검진사업에 폐암 검진을 도입한다. 또한 정부는 암으로 인한 국민과 사회의 부담을 줄이고 국민건강을 증진하고자 1996년부터 10년 단위로 3차례에 걸쳐 국가암관리종합계획을 수립, 시행해 왔다.

정부는 2019년에는 암생존자 통합지지사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초기 암 치료를 끝낸 암환자와 가족에게 건강관리와 심리상담 등 종합적인 지원을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중앙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를 지정하고 권역별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를 2018년 7곳에서 2019년 11곳으로 확대한다.

특히 암의 발병양상, 진행경과 등 성인암환자와 다른 소아청소년의 특성을 반영한 암 생존자 통합지지 시범사업기관(2곳)을 처음 선정해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권역 호스피스센터(2018년3곳→2019년 8곳)와 소아청소년 호스피스 시범사업(2018년 2곳→2019년 4곳)을 확대하는 등 호스피스 서비스에 대한 국민수요에 대응하기로 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요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